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금융 상식3

채무면제유예상품 DCDS 지금 확인하고 환불받자 채무면제유예상품, 일명 DCDS 수수료로 카드사들이 벌어들인 돈이 1,000억이 넘는다고 한다. 불완전판매로 인해 2016년 이후 판매가 완전히 중단되었지만 아직도 해지하지 않고 있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은 것이다. 나도 모르는 사이 가입되어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하고 꼭 환불을 받자. 금액이 많으면 100만원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채무면제유예상품이란 고객이 사망하거나 사고를 당했을 때 카드 결제 금액을 면제 또는 유예해 주는 서비스로 그 취지는 좋다. 하지만 문제는 수수료다. 가입 시 매월 카드결제금액의 0.5%가 수수료로 빠져나간다. 매달 카드 사용금액이 100만원이라면 0.5%인 5천원이 청구된다.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다. 구조를 들여다보면 어이가 없다. 고객의 재정이 악화되었을 때 연체되는 걸 .. 2023. 5. 4.
가상화폐 세금 비트코인 양도소득세는 얼마인가? 가상화폐 세금 부과를 하는 소득세법은 2022년 12월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시행은 2년 유예되어 2025년 1월 1일부터 비트코인 양도소득세가 부과된다.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니 얼마가 나올지 알아보자. 가상화폐 세금 과세대상 소득 과세대상은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에 따른 가상자산, 즉 비트코인 외 암호화폐를 양도하거나 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이다. 쉽게 말해 거래소를 통해 사고팔면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일정한 양도소득세율을 적용하겠다는 뜻이다. 특금법에서는 '가상자산'을 국가의 통화와 유사한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이전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로 정의한다. 하지만 여기에도 제외 대상이 있다. 제외대상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할 수 없는 증표로.. 2023. 4. 24.
예금 vs 적금, 이자 차이는 왜 생기는 걸까 처음으로 통장을 만들기 위해 은행을 방문한 사회초년생들은 직원에게 꼭 적금을 권유받는다. 연 이자가 어쩌고 저쩌고, 만기까지 유지하면 어쩌고 저쩌고. 얼떨결에 월 50만원씩 / 12개월 만기 / 연 5% 이율의 정기적금을 가입한다. *괜찮다. 어차피 재테크의 시작은 예금과 적금이다. 가입 예시 불입액 50만원 매월 납입 만기 불입액 6백만원 50만원X12개월 이자 30만원 6백만원X5% 만기 수령액 630만원 원금+이자 과연 만기 때 나는 위 표대로 630만원을 수령할 수 있을까? 아니다. 실수령액은 정확하게 6,137,475원이다. *은행은 일 단위로 계산하기 때문에 10원 단위 차이는 있을 수 있다. 왜 예상과 다른 금액이 나오는지,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알아보자. 예금 은행에 정해진 기간 동안 돈을.. 2023. 3. 23.
반응형